티스토리 뷰

 

 

2025.3.29

 

2025.3.29

대한민국 최근 산불 현황과 매년 경향 분석

2025년 3월 산불 현황

2025년 3월 대한민국은 역대 최악의 산불 피해를 겪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발생 및 피해 상황:
    • 3월 21일부터 시작된 산불은 경상남도 산청군을 포함하여 전국적으로 20건 이상의 대형 화재로 확산되었습니다.
    • 현재까지 약 87,240.5 헥타르(약 215,576 에이커)의 면적이 소실되었으며, 이는 대한민국 산불 역사상 최대 규모입니다.
    • 사망자 30명, 부상자 45명, 약 37,829명이 대피하였습니다.
  • 주요 지역 및 대응:
    • 경북 의성군과 경남 산청군에서 가장 큰 피해가 발생했으며, 울산과 부산 등지에서도 산불이 보고되었습니다.
    • 정부는 경상북도와 경상남도를 포함한 여러 지역을 재난 지역으로 선포하고, 약 26억 원의 특별 재난 안전 보조금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 산림청과 소방당국은 헬기와 인력 수천 명을 동원해 진화 작업에 나섰으며, 최근 비와 기온 하락으로 주요 화재는 대부분 진압되었습니다.

산불 발생의 장기적 경향

최근 몇 십 년간 대한민국의 산불 발생은 기후 변화와 인간 활동의 영향을 받아 점차 증가하고 있습니다.

  • 발생 건수 및 기간:
    • 지난 30년간 연평균 451건의 산불이 발생하였으며, 이는 매년 약 5.82건씩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 특히 대형 산불이 주로 발생하는 기간은 봄철(3~5월)이며, 전체 피해 면적의 약 80%가 이 시기에 집중됩니다.
  • 피해 규모와 원인:
    • 대형 산불(피해 면적 >100헥타르)은 전체 건수의 0.4%에 불과하지만, 전체 피해 면적의 약 72.4%를 차지합니다.
    • 주요 원인으로는 봄철 가뭄, 기온 상승, 강풍 등 기후 변화 요인 외에도 인간 활동(야외 활동 중 부주의, 농사 작업 등)이 지목되고 있습니다.
  • 지역별 특징:
    • 강원도와 경북 지역에서 대형 산불이 집중되며, 이는 울창한 숲과 강풍 등 자연적 조건 때문입니다.
    • 최근에는 도심 근교에서의 야외활동 증가로 인해 대도시 주변에서도 산불 발생 건수가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산불로 인한 재난 지원 조치는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대한민국에서 산불로 인한 재난 지원 조치는 피해 복구와 이재민 구호를 중심으로 이루어집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특별재난지역 지정 및 행정·재정적 지원

  • 산불 피해가 심각한 지역은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되며, 정부는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제공합니다. 여기에는 복구비 지원, 재난의료 서비스 강화, 보험료 인하, 심리 지원 등이 포함됩니다.
  •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된 곳은 지방세 감면, 화재로 소손된 현금 교환 등 추가적인 경제적 혜택도 받을 수 있습니다.

2. 이재민 구호 및 복구 지원

  • 피해 주민들은 거주지 시·군·구청 및 행정복지센터를 통해 긴급 대피소와 생필품을 지원받습니다. 이후에는 귀가 여부를 결정하고 주거 환경 복구에 필요한 도움을 받습니다.
  • 산불로 인한 이재민에게는 주거 환경 복구, 상수도 및 전기시설 점검 등 실질적인 생활 재건을 위한 지원이 이루어집니다.

3. 산불 진화 및 예방 체계

  • 산불 발생 시 중앙산불대책본부와 지방산불방지대책본부가 통합 지휘 체계를 구축하며, 헬기와 진화 인력을 투입하여 진화를 진행합니다.
  • 산림청은 산불 예방을 위해 감시 카메라 확대 설치, 입산 통제, 화기물 집중 단속 등 다양한 예방 활동을 시행합니다.

4. 건강 및 심리적 지원

  • 산불 피해 지역 주민들은 호흡기 질환, 정신건강 문제 등 장기적인 건강 위험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의료 지원과 심리 상담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5. 사후 관리 및 모니터링

  • 산불 진화 후에도 불씨 감시와 피해 상황 보고가 철저히 이루어지며, 피해 지역의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복구 작업이 진행됩니다.

이러한 조치는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협력하여 신속히 이루어지며, 피해 주민의 안전과 생활 재건을 최우선으로 합니다.

 

 

 

주요 산불 관련 테마 기업
  • 소방 설비
    • 파라텍: 스프링클러 헤드류, 소방용 밸브류 등 소방 기구 제조 및 소방 설비 공사 전문 기업
    • 한창: 국내 가스 소화 설비 전국 제조 업체로 주요 판매 제품은 청정 소화약제 가스 소화설비 등인 소화기 제조, 판매, 유통 기업
    • 홈센타홀딩스: 대구 경북 지역 기반으로 건설 현장의 스프링클러 등 소방 설비를 시공하는 기업
  • 산불 감지 및 예방
    • 케이웨더: 사물인터넷(IoT) 기반 공기 측정 및 개선 솔루션 기업
  • 산불 진압 및 복구
    • 현대에버다임: 소방차 중에서도 높은 기술을 요하는 고층 인명 구조용, 고층 화재 진압용 및 생화학 소방차 등을 생산하는 건설 중장비 및 소방차량 제조 기업
    • 이엔플러스: 소방차 제작 전문회사로 펌프소방차, 화학소방차, 물탱크소방차, 고가사다리차 등을 제조하여 조달청 등에 납품하는 소방기업
    • 자연과환경: 환경생태복원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으로 산불 피해 확산에 따른 복구작업에서 수혜를 볼 수 있다는 기대감.
  • 산불 피해 최소화
    • 위닉스: 공기청정기 제조 기업
    • 한컴라이프케어: 개인용 안전장비 업체로 개인용 보호장비를 생산, 판매하고 있으며, 주요 제품으로는 공기호흡기 및 구성품, 방독면, 긴급대피마스크, 기타 마스크류, 특수목적 피복류 등이 있음
    • HRS: 건설용 실리콘 방화 제품을 생산하고 있는 점이 시장에서 부각됐으며, 실리콘 고무 전문 제조 기업

[투자 시 유의사항]

  • 산불 관련 테마 기업은 시장 상황에 따라 주가가 크게 변동할 수 있으므로 투자에 유의해야 합니다.
  • 테마주는 단기적인 이슈에 따라 급등락을 반복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투자 시 신중한 판단이 필요합니다.
  • 기업의 재무 상태, 성장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투자 결정을 내려야 합니다.

[참고 자료]